∘ 이 기술을 활용하면 DNA 데이터 내 특정 파일을 보다 정밀하게 찾아
내고 자유자재로 조작할 수 있다.
* 순환적 DNA 합성 및 선택(Cyclic DNA Synthesis and Selection) 방식: 특정
DNA 서열을 선택하기 위해 DNA 합성과 선택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이다. 먼저, DNA 합성 단계에서 단일 나선 주형 DNA 위에서 목표 서열을 포함
하는 DNA만 계속 합성되도록 조절하고, 그렇지 않은 서열은 멈추게 한다. 이후,
선택 과정에서 원하는 서열만 남기고 나머지는 제거하며, 이 과정을 여러 번 반
복하여 최종적으로 특정 DNA 서열만 남긴다. 이를 통해 프라이머 없이도 원하는
DNA 서열을 정밀하게 선택할 수 있다.
□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혼성화 캡처(Hybridization Capture) 등
기존의 DNA 파일 접근 기술은 특정 DNA를 증폭하거나 물리적으로 분
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프라이머*를 설계해야 한다.
∘ 그러나 프라이머는 최소 20개의 염기를 포함해야 하며, 이 때문에 특
정 DNA를 인식하려면 긴 서열을 추가적으로 할당해야 하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또한, 구분해야 하는 DNA 파일의 종류가 늘어날수록 이
를 구별하기 위한 프라이머 설계 및 합성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
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 따라서 프라이머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효율적으로 DNA 파일을 식별
하고 저장할 수 있으며, 다양한 데이터 규모와 복잡한 구조에도 대응
할 수 있는 새로운 생화학적 방식이 필요하다.
* PCR(중합효소 연쇄 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특정 DNA 서열을 증
폭하는 기술로, 짧은 시간 내에 원하는 DNA를 대량으로 복제할 수 있도록 한
다. 이 과정은 변성(denaturation), 결합(annealing), 연장(extension)의 세 단계를 반
복하며 진행된다. 먼저, 열을 가해 DNA의 이중나선을 분리(변성)하여 단일 가닥
형태로 만든다. 이후, 특정 서열과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프라이머가 DNA
와 결합(결합)하며, DNA 중합효소가 프라이머를 시작점으로 새로운 DNA 가닥을
합성(연장)한다. 이 세 단계를 반복하면서 각 사이클마다 DNA의 양이 기하급수
적으로 증가하며, 최종적으로 원하는 DNA 서열이 대량으로 증폭된다.
* 프라이머: 일반적으로 20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짧은 DNA 조각으로 DNA 복제나 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