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023. 11. 27.(월)
062-715-2061
062-715-2062
신소재공학부 이상한 교수
062-715-2314
미디어홍보팀 김지훈 팀장
미디어홍보팀 이나영 선임행정원
GIST, 대면적화 가능 광전극 모듈화 기술 개발
친환경 그린수소 대량생산 길 열어
「Advanced Science」표지논문
-
새로운 광전극의 ‘모듈화 기술’ 적용해 대량의 그린수소 생산 가능성 제시
-
광전기화학 모듈 중 최초로 무전압 조건에서 구동 성공 및 실제 태양광 환경에서 검증
□ 탄소중립 시대에 각광받는 ‘그린수소 에너지를 대량 생산할 수 있
는 길이 열렸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임기철) 신소재공학부 이상한 교수와 에너
지융합대학원 김희주 교수 공동 연구팀은 광전극에 모듈화 기술을 적
용하여 대면적화 가능한 유기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이하 페로
브스카이트)* 광전기화학 모듈 시스템을 개발했다.  
   * 페로브스카이트: ABX3의 결정 구조를 갖는 유-무기 화합물로 높은 전하이동 능
력과 빛 흡수성으로 광변환효율이 높아 차세대 광반도체로 각광받고 있다.
□ 수소 에너지는 생산 방식에 따라 그레이, 블루, 그린 수소로 구분되는
데 ‘그린수소’는 태양광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생산되고 있어 
수소 에너지 중 가장 친환경적이다. 태양광을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에
는 물을 포함하는 전해질과 반도체 광전극을 활용한 ‘광전기화학 물
- 2 -
분해*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 최근에는 ‘페로브스카이트’와 같은 제조 공정이 간편하고 높은 효
율의 새로운 물질로 광전극을 제조하려는 연구들이 시도됨에 따라 고
효율과 고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광전기화학 시스템의 실용화와 
이를 통한 그린수소의 대량 생산을 위해서 대면적의 광전극 개발은 
필수적이며, 특히 실제 태양광 아래에서의 현실 검증이 필요하다.
   * 광전기화학 물분해: 그린수소의 생산 방식 중 하나로, 전해질 담지된 반도체 광전극
을 작동 전극으로 하여 광전극에 빛이 입사하면 생성되는 전자와 정공을 이용해 수
소 및 산소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 그러나 소자의 면적이 넓어질수록 커지는 저항 손실, 균일하지 못한 박
막의 형성, 그리고 물질 내부의 결함으로 인해 대면적의 페로브스카이
트 광전극은 높은 효율을 보이기 어렵고 대면적화가 힘들기 때문에 페
로브스카이트를 기반으로 제작된 광전극을 실용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극은 면적이 넓어질수록 효율이 급격하게 감소하
기 때문에 최적의 효율을 보이는 단위 소자의 면적이 존재한다.
□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광전기화학 시스템의 대면적화를 위해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극을 평행하게 연결해 효율 저하가 최소화된 높은 
확장성(Scalability)을 가진, 즉 쉽게 높은 효율의 대면적화가 가능한 페
로브스카이트 광전기화학 모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 연구팀이 개발한 모듈은 페로브스카이트 광양극과 광음극을 모두 포함
하는 시스템이어서 외부 전압이 필요 없는 무전압 조건에서 구동 가능
하며, 이는 광전기화학 모듈 중 최초이다.
  ∘ 총 16개의 단위 소자를 연결하여 제작된 4 cm2 면적의 페로브스카이
트 광전기화학 모듈은 연구실 환경이 아닌 실제 태양광 환경에서 현
- 3 -
실 검증을 진행했으며, 실험실 환경의 91% 정도의 광량으로도 외부 
전압 없이 11.52 mA의 높은 광전류를 기록했다.
□ 이상한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광전극의 모
듈화 기술을 통해 대면적의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기화학 시스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면서 “향후 후속 연구와 모듈화된 광전극을 통해 
그린수소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의 실용화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GIST 신소재공학부 이상한 교수가 주도하고 에너지융합대학원 김희주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GIST 최호중 박사와 GIST 
박사 졸업 후 독일 과학연구소 헬름홀츠-젠트럼 헤레온 그룹 리더인 서
세훈 박사(Helmholtz-Zentrum Hereon)가 공동 제1저자로 수행했다.
  ∘ 한국연구재단의 미래수소원천기술개발, ERC 선도연구사업과 GIST 개
발과제(차세대에너지연구소)의 지원을 받았으며, 국제학술지인 ‘어드
밴스 사이언스 (Advanced Science)’(IF=15.1)의 표지 논문으로 선
되어 2023년 11월 24일 게재됐다.  <끝>
- 4 -
논문의 주요 정보
1. 논문명, 저자정보 
 - 저널명 : Advanced Science (IF=15.1) (2022년 기준)
 - 논문명 : Organometal Halide Perovskite-Based Photoelectrochemical 
Module Systems for Scalable Unassisted Solar Water Splitting
 - 저자 정보 : 최호중 박사 (공동 제1저자, GIST), 서세훈 박사 (공동 
제1저자, Helmholtz-Zentrum Hereon), 김희주 교수 (공동 
교신저자, GIST) 이상한 교수 (대표 교신저자, GIST)  
- 5 -
사 진 설 명
[사진1] (왼쪽부터) GIST 이상한 교수, GIST 김희주 교수, GIST 신소재공학부 최호중 박사, 
Helmholtz-Zentrum Hereon 서세훈 박사
[사진2] 「Advanced Science」 표지 논문 선정
- 6 -
그 림 설 명
[그림1]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기화학 모듈 시스템의 모식도 (왼쪽)과 사진 (오른쪽). 실
제 태양광 아래에서의 구동이 가능하며 단일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극 단위 소
자에 비해 대면적에서의 태양광 수소 생산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2]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기화학 모듈의 실제 태양광 아래에서의 측정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기화학 모듈 시스템은 실제 태양광 환경에서 성공적인 
무전압 구동을 확인할 수 있다.